정신건강

DSM-5 정신 장애 주요 증상과 진단 기준

CoCreation 2025. 4. 16. 21:19

DSM-5는 다양한 정신장애를 진단하기 위한 기준을 제공합니다. 각 카테고리별 주요 증상과 진단 기준을 간략히 정리해드리겠습니다.

1. 신경발달장애 (Neurodevelopmental Disorders)

  • 지적 장애 (Intellectual Disability): 지적 기능과 적응 기능의 결함이 있으며, 발달 기간 동안 나타납니다. IQ 테스트와 적응 기능 평가를 통해 진단합니다.
  • 의사소통 장애 (Communication Disorders): 언어 장애, 발음 장애, 유창성 장애, 사회적 의사소통 장애 등이 포함됩니다. 각 장애는 언어, 발음, 유창성, 사회적 의사소통의 결함을 기준으로 진단합니다.
  • 자폐 스펙트럼 장애 (Autism Spectrum Disorder): 사회적 의사소통과 상호작용의 지속적인 결함, 제한적이고 반복적인 행동 패턴이 특징입니다. 발달 초기부터 증상이 나타나며, 다양한 평가 도구를 통해 진단합니다.
  •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ADHD): 지속적인 부주의와/또는 과잉행동-충동성이 특징입니다. 여러 환경에서 증상이 나타나며, 발달 초기부터 증상이 시작됩니다.
  • 특정 학습장애 (Specific Learning Disorder): 읽기, 쓰기, 수학 등의 학습 기술에 지속적인 어려움이 있습니다. 학업 성취도 평가와 임상적 평가를 통해 진단합니다.

2. 정신분열 스펙트럼 및 기타 정신병적 장애 (Schizophrenia Spectrum and Other Psychotic Disorders)

  • 정신분열증 (Schizophrenia): 망상, 환각, 와해된 사고, 심하게 와해된 또는 비정상적인 운동 행동, 음성 증상 등이 포함됩니다. 최소 6개월 동안 지속되어야 하며, 기능 장애를 초래합니다.
  • 단기 정신병적 장애 (Brief Psychotic Disorder): 망상, 환각, 와해된 사고, 심하게 와해된 또는 비정상적인 운동 행동이 최소 1일에서 최대 1개월 동안 지속됩니다.
  • 망상장애 (Delusional Disorder): 최소 1개월 동안 지속되는 망상이 특징입니다. 기능 장애는 상대적으로 적습니다.

3. 양극성 및 관련 장애 (Bipolar and Related Disorders)

  • 양극성 장애 I형 (Bipolar I Disorder): 조증 삽화가 최소 1주일 동안 지속되며, 주요 우울 삽화가 동반될 수 있습니다.
  • 양극성 장애 II형 (Bipolar II Disorder): 경조증 삽화와 주요 우울 삽화가 번갈아 나타납니다.
  • 순환성 장애 (Cyclothymic Disorder): 경조증 증상과 우울 증상이 최소 2년 동안 반복적으로 나타납니다.

4. 우울장애 (Depressive Disorders)

  • 주요 우울장애 (Major Depressive Disorder): 최소 2주 동안 지속되는 우울한 기분과 흥미 상실이 특징입니다. 수면, 식욕, 에너지, 집중력, 자존감 등의 변화가 동반됩니다.
  • 지속성 우울장애 (Persistent Depressive Disorder): 최소 2년 동안 지속되는 만성적인 우울한 기분이 특징입니다.

5. 불안장애 (Anxiety Disorders)

  • 범불안장애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최소 6개월 동안 다양한 사건이나 활동에 대한 과도한 불안과 걱정이 지속됩니다.
  • 공황장애 (Panic Disorder): 갑작스럽고 반복적인 공황 발작이 특징입니다. 발작 후 지속적인 걱정이나 행동 변화가 나타납니다.
  • 사회불안장애 (Social Anxiety Disorder): 사회적 상황에 대한 극심한 두려움과 회피가 특징입니다.

6. 강박 및 관련 장애 (Obsessive-Compulsive and Related Disorders)

  • 강박장애 (OCD): 반복적인 강박 사고와 강박 행동이 특징입니다. 일상 생활에 심각한 영향을 미칩니다.
  • 신체변형장애 (Body Dysmorphic Disorder): 외모에 대한 집착과 반복적인 행동이 특징입니다.

7. 외상 및 스트레스 관련 장애 (Trauma- and Stressor-Related Disorders)

  •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PTSD): 외상 사건 후 지속적인 재경험, 회피, 부정적 인지 및 기분 변화, 과각성이 특징입니다.
  • 급성 스트레스 장애 (Acute Stress Disorder): 외상 사건 후 3일에서 1개월 동안 지속되는 증상이 특징입니다.

8. 해리장애 (Dissociative Disorders)

  • 해리성 정체감 장애 (Dissociative Identity Disorder): 두 개 이상의 별개의 정체감이 존재하며, 기억의 공백이 특징입니다.
  • 해리성 기억상실 (Dissociative Amnesia): 중요한 개인 정보를 기억하지 못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9. 신체 증상 및 관련 장애 (Somatic Symptom and Related Disorders)

  • 신체 증상 장애 (Somatic Symptom Disorder): 신체 증상에 대한 과도한 생각, 감정, 행동이 특징입니다.
  • 질병 불안 장애 (Illness Anxiety Disorder): 심각한 질병에 걸렸다는 생각에 대한 과도한 걱정이 특징입니다.

10. 섭식장애 (Feeding and Eating Disorders)

  • 신경성 식욕부진증 (Anorexia Nervosa): 체중 증가에 대한 극심한 두려움과 체중 감소가 특징입니다.
  • 신경성 폭식증 (Bulimia Nervosa): 반복적인 폭식과 보상 행동이 특징입니다.

11. 수면-각성 장애 (Sleep-Wake Disorders)

  • 불면증 장애 (Insomnia Disorder): 수면 시작이나 유지의 어려움이 특징입니다.
  • 과다수면증 장애 (Hypersomnolence Disorder): 과도한 졸림이 특징입니다.

12. 성기능 장애 (Sexual Dysfunctions)

  • 발기부전 (Erectile Disorder): 성적 활동 중 발기를 유지하지 못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 조루증 (Premature Ejaculation): 성적 활동 중 너무 빨리 사정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13. 성별 불쾌감 (Gender Dysphoria)

  • 성별 불쾌감 (Gender Dysphoria): 지정 성별과 경험하는 성별 간의 불일치로 인한 심각한 불쾌감이 특징입니다.

14. 파괴적, 충동조절 및 품행 장애 (Disruptive, Impulse-Control, and Conduct Disorders)

  • 반항장애 (Oppositional Defiant Disorder): 지속적인 반항적이고 적대적인 행동이 특징입니다.
  • 품행장애 (Conduct Disorder):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반복적인 행동이 특징입니다.

15. 물질 관련 및 중독 장애 (Substance-Related and Addictive Disorders)

  • 알코올 사용 장애 (Alcohol Use Disorder): 알코올 사용에 대한 통제력 상실과 기능 장애가 특징입니다.
  • 도박 장애 (Gambling Disorder): 반복적인 도박 행동이 특징입니다.

16. 신경인지 장애 (Neurocognitive Disorders)

  • 주요 신경인지 장애 (Major Neurocognitive Disorder): 인지 기능의 심각한 저하가 특징입니다.
  • 경도 신경인지 장애 (Mild Neurocognitive Disorder): 인지 기능의 경미한 저하가 특징입니다.

17. 성격 장애 (Personality Disorders)

  • 경계성 성격 장애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불안정한 대인 관계, 자아상, 감정이 특징입니다.
  • 반사회성 성격 장애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타인의 권리를 무시하는 반복적인 행동이 특징입니다.

18. 변태성욕 장애 (Paraphilic Disorders)

  • 관음증 (Voyeuristic Disorder): 타인의 성적 활동을 몰래 보는 것이 특징입니다.
  • 노출증 (Exhibitionistic Disorder): 타인에게 성기를 노출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19. 기타 정신장애 (Other Mental Disorders)

  • 약물 유발성 정신장애 (Substance/Medication-Induced Mental Disorders): 약물 사용으로 인한 정신장애가 특징입니다.
  • 기타 주의 집중 장애 (Other Specified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의 증상이 있지만 완전한 진단 기준을 충족하지 않는 경우입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