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근대 철학 7

플라톤의 동굴 비유와 인식론: 그리고 포스트모던으로의 확장

플라톤의 동굴 비유: ‘진짜 세계’는 따로 있다플라톤(Plato)의 『국가』(The Republic) 7권에 등장하는 **동굴 비유(Allegory of the Cave)**는 인간 인식의 한계와 진리 탐구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고전 철학 이야기입니다. 동굴 비유의 구조동굴 속 인간들: 태어나서부터 벽에 묶여 앞만 보고 살아가는 사람들그들이 보는 것: 동굴 벽에 비친 그림자(shadows)(그림자는 동굴 뒤의 불빛 앞을 지나가는 사물들의 모습)진짜 세계: 동굴 밖에 있는 실제 사물들(‘이데아’, Forms) 핵심 의미플라톤에 따르면 우리가 감각으로 인식하는 세계는 그림자에 불과하며, **진정한 지식(episteme)**은 **‘이데아(Forms)’**라는 초월적 존재를 통해서만 얻을 수 있습니다.플라톤과..

근대 철학 2025.06.10

헤겔의 관념론과 그에 대한 현대의 비판들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1770–1831)**은 독일 관념론 철학의 정점에 선 인물입니다. 그는 인간 이성과 역사, 현실을 하나의 거대한 체계로 통합해 설명하려 했고, 그 사유체계는 현대 철학, 정치이론, 사회학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습니다. 하지만 동시에 그의 관념론은 많은 현대 사상가들에 의해 비판의 대상이 되어왔습니다. 오늘은 헤겔의 철학이 무엇인지, 그리고 그것이 어떻게 비판받아왔는지를 정리해보겠습니다.헤겔의 관념론이란 무엇인가?헤겔은 실재(reality)는 궁극적으로 정신(Gesit) 또는 **이성(vernunft)**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보았습니다. 그의 핵심 사유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변증법(dialectics): 세계는 정태적인 것이 아니라, 모순과 갈등을 통해 발전합니다. ‘..

근대 철학 2025.04.13

헤겔의 관념론: 철학의 체계화를 향한 여정

1. 관념론이 꽃피우기까지: 시대적·철학적 배경19세기 초 독일은 나폴레옹 전쟁 이후 민족주의와 계몽주의, 그리고 낭만주의가 교차하는 지성의 장이었다. 이 시기 철학은 ‘현실’보다는 ‘이성’, ‘경험’보다는 ‘사유’에 무게를 두며, 인간 내면의 본질과 세계의 근원을 탐구하는 방향으로 흘러갔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등장한 것이 바로 **독일 관념론(German Idealism)**이다.이 철학은 칸트의 비판철학에서 출발한다. 칸트는 인간이 사물 자체(Ding an sich)를 알 수 없고, 오직 인간의 인식 능력 안에서만 세계를 파악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 주장은 인간 주체의 역할을 강조하며, 세계는 ‘존재하는 그대로’가 아니라, ‘인식되는 방식’으로만 존재한다고 보았다.칸트의 후계자인 피히테, 셸링,..

근대 철학 2025.04.13

현대 사상가들은 왜 칸트를 비판했을까? – 칸트 인식론에 대한 비판적 조망

임마누엘 칸트는 근대 철학의 지평을 새롭게 연 사상가로, 그의 인식론은 이후의 철학과 사회과학에 깊은 영향을 주었습니다. 하지만 시대가 바뀌면서 그의 사상을 다양한 관점에서 재해석하거나 비판하려는 시도도 이어졌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현대 사상가들이 칸트의 인식론에 대해 어떤 비판을 했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봅니다.1️⃣ 경험과 현실의 단절 – 현상과 물자체의 이분법 비판비판자: 프리드리히 셸링, 게오르크 헤겔 등 독일 관념론 철학자들칸트는 인간이 인식할 수 있는 것은 **‘현상’(phenomena)**에 한정되며, **‘물자체’(noumenon)**는 인식 불가능하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에 대해 셸링과 헤겔은 다음과 같은 문제를 제기합니다:“물자체가 있다면, 그것이 인식되지 않는다고 어찌 알 수 있는가?”“현..

근대 철학 2025.04.13

칸트의 사상과 현대 사회과학에 미친 영향

칸트는 누구인가?임마누엘 칸트(Immanuel Kant, 1724–1804)는 독일의 계몽주의 철학자로, 근대 철학을 대표하는 인물 중 하나입니다. 그의 대표작 순수이성비판은 “우리는 무엇을 알 수 있는가?”라는 인식론적 질문에서 출발하며, 인간의 이성, 도덕, 자유, 자율성에 대한 깊은 통찰을 담고 있습니다.칸트는 감각적 경험과 선험적 이성이 결합되어 우리가 세계를 인식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즉, 인간은 단순히 외부 세계를 수동적으로 받아들이는 존재가 아니라, 능동적으로 세계를 구성하는 존재입니다.칸트 철학의 핵심 개념선험적 종합판단: 인간은 경험에 앞서 작동하는 인식 구조(시간, 공간, 인과 등)를 가지고 있으며, 이로써 세계를 이해합니다.자율성과 도덕법칙: 인간은 외부 명령이 아닌, 스스로 이성에 따..

근대 철학 2025.04.13

칸트의 인식론은 어디서 왔고, 어떻게 발전했을까?

칸트의 인식론은 철학사에서 하나의 혁명이었습니다. 하지만 이 사상도 갑자기 하늘에서 떨어진 것은 아닙니다. 그는 이전의 철학 전통을 비판적으로 계승하며, 새로운 인식의 틀을 제시했죠. 이번 글에서는 칸트의 인식론이 어떻게 탄생했는지, 그 사상적 배경과 발전 과정을 살펴봅니다.칸트 이전의 철학자들: 인식론의 두 갈래🔵 합리론 (Rationalism) – "이성으로 모든 것을 알 수 있다!"대표 사상가: 데카르트(Descartes), 스피노자(Spinoza), 라이프니츠(Leibniz)특징: 인간은 타고난 이성과 논리를 통해 진리를 알 수 있다고 주장핵심 개념: 선천적 관념(innate ideas), 수학적 확실성, 연역적 추론🔴 경험론 (Empiricism) – "경험 없이는 아무것도 모른다!"대표 사..

근대 철학 2025.04.13

근대 정치철학의 세 기둥 Three Pillars of Modern Political Thought

Three Pillars of Modern Political Thought: Locke, Rousseau, and Hobbes and Their Influence on Sociology근대 정치철학의 거장들인 토마스 홉스, 존 로크, 장 자크 루소는 국가, 권력, 자유, 인간 본성에 대한 서로 다른 관점을 제시함으로써 현대 사회학의 기초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이들의 사상은 사회계약론이라는 공통된 틀 안에서 서로 다른 인간상과 국가의 역할을 상정하면서, 사회 질서의 구성 원리를 탐구하는 사회학의 형성에도 깊은 발자취를 남겼습니다.1. Thomas Hobbes (1588–1679): 질서의 절대성과 사회적 통제주요 저작: 『리바이어던(Leviathan)』 (1651)핵심 개념: 자연 상태는 "만인의..

근대 철학 2025.04.13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