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한인사회의 이해
트럼프 시대, 미국 한인사회는 어떻게 변했나?
CoCreation
2025. 4. 7. 10:36
트럼프 행정부(2017–2021)는 미국 내 이민정책을 대폭 강화하며 다양한 한인 이민자 계층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특히 비자 제도, 가족초청, 불법체류자 문제, 반이민 정서 고조 등의 측면에서 미국 한인사회에 다음과 같은 변화와 반응이 나타났습니다.
1. 이민정책의 강화와 한인사회 위축
H-1B 및 취업비자 심사 강화: 유학생 출신 한인들의 미국 내 취업 진입장벽이 높아졌습니다. 특히 STEM 전공자 외에는 비자 승인률이 감소했고, 한인 유학생 수의 성장세가 둔화되었습니다.
영주권 심사 및 가족초청 지연: 트럼프 행정부는 '공공부조 수혜자 제한' 정책 등을 도입하며 가족이민 심사를 강화했습니다. 이에 따라 부모초청 이민 등 한인 가족 간 재결합에 어려움이 생겼습니다.
DACA 및 불법체류자 문제: 한인 드리머(Dreamers) 약 7천여 명도 영향을 받았습니다. 트럼프의 DACA 폐지 시도는 많은 한인 청년 이민자에게 불안을 주었고, 커뮤니티 내에서 시민권 취득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었습니다.
---
2. 반이민 정서와 한인사회의 긴장
트럼프 행정부는 반이민 담론과 함께 ‘America First’를 앞세워 아시아계에 대한 차별적 인식을 확산시켰고, 이는 코로나19 이후 아시아계 혐오 범죄 증가와도 연결됩니다.
특히 한인 상공업자, 자영업자들은 범죄 피해와 고객 감소, 커뮤니티 내 불안 심화라는 이중고를 겪었습니다.
---
3. 정치적 각성과 커뮤니티 조직화
위기의식은 한인사회의 정치 참여를 촉진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한인 유권자 등록 증가: 특히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정치 참여율이 높아졌습니다.
커뮤니티 조직의 성장: 민권센터, KRC 등 이민자 권리단체가 트럼프 시대에 활발히 활동하며 한인사회의 발언권 확대에 기여했습니다.
---
4. 미국 한인사회의 대응 전략
법적 대응: 단체 차원에서 이민정책 관련 소송에 참여하거나 연방정부 정책에 대해 공개적으로 비판 성명을 발표했습니다.
언론 및 교육: 한인 언론 및 커뮤니티 센터는 다양한 이민 관련 정보를 전달하고 시민권 취득, 유권자 등록 캠페인을 추진했습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