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건강

실존상담의 대표적 기법

CoCreation 2025. 4. 7. 09:18

실존상담의 대표적 기법

기법                                                   설명                                                    사용 예

 

의미 탐색(Meaning Exploration) 삶의 사건 속에서 주관적 의미를 발견하도록 돕는다 “이 경험이 당신에게 말해주는 것이 있다면, 그것은 무엇일까요?”
책임 되돌려주기(Responsibility Attribution) 선택의 자유와 책임을 자각하게 한다 “이 선택이 당신에게 어떤 결과를 가져올 것 같습니까?”
경계상황 강조(Boundary Situation) 죽음·상실·질병 같은 삶의 극한 경험을 직면시킴 “이 사건이 당신의 삶을 어떻게 재정의했나요?”
자기초월(Self-transcendence) 고통을 넘어 타인·가치·미래로의 지향 유도 “지금의 고통이 누군가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면, 어떤 의미일까요?”
실존적 대화(Existential Dialogue) 이론보다는 내담자의 존재 방식 자체에 주목 “당신은 지금 ‘어떻게 존재하고’ 있다고 느끼나요?”

2. 실존상담의 주요 학자 접근법

빅터 프랭클 (Viktor Frankl) – 로고테라피(Logotherapy)

  • 핵심: “삶의 의미에 대한 의지”
  • 주요 개념:
    • 의미의 공허(Existential Vacuum)
    • 태도의 자유(Freedom of attitude)
    • 초월(Self-transcendence)
  • 예시:
    • 아우슈비츠 생존 경험 속에서 “어떤 상황에서도 의미는 찾을 수 있다”는 믿음을 심리치료로 정립

어빈 얄롬 (Irvin Yalom) – 실존심리치료

  • 핵심: 인간의 4가지 궁극적 관심
    1. 죽음
    2. 자유 (불안과 책임)
    3. 고립
    4. 의미 부재
  • 주요 접근: 내담자가 이 문제들과 진실하게 마주하도록 돕는 과정 중심의 치료

3. 실존상담 대화 예시 (간단한 시나리오)

내담자: 요즘 아무것도 의미가 없어요. 하고 싶은 것도 없고요.
상담자: 그 말씀이 꽤 무겁게 느껴지네요. 의미가 없다고 느끼는 그 감정 속에는 어떤 삶의 질문이 숨어있을까요?
내담자: 그냥, 내가 왜 사는지 모르겠어요.
상담자: 우리가 오늘 이 자리에서 함께 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일이 바로 그것일 수 있습니다. 당신이 왜 살아야 하는지를 함께 탐색하는 일.
내담자: 근데… 답이 있을까요?
상담자: 정답보다는, 당신만이 찾을 수 있는 당신만의 의미를 함께 찾아가는 여정이죠. 고통과 함께 있는 삶에도, 당신의 방식으로 그 의미를 붙잡을 수 있을 겁니다.

728x90